데이터를 기반으로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본문

도서 리뷰/빅데이터&IT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이노후 2024. 5. 14. 00:13
728x90
반응형

 

도서명 :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출판사 : 한빛미디어

 

지은이 : 강민철 지음

 

독서 기간 : 2024-05-16 ~ 2024-05-24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개인적으로 '혼자 공부하는' 시리즈를 굉장히 좋아하는 독자 중 한명이다. 한번쯤 혼자 공부하는 시리즈를 읽어본 독자라면 내 말에 공감할 것이다.

 

IT는 생각보다 선배나 선임이 친절하게 알려주는 곳이 드물다(타 분야도 마찬가지 일 수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여태까지 선배나 선임이 따로 없어 혼자 공부한 적이 많았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IT 관련 도서를 많이 읽게 되었고 그러다가 접한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을 읽게 되었고 그것이 내가 처음으로 접했던 '혼자 공부하는'(이하 혼공) 시리즈 였다.

 

상세하게 하나하나 설명해주는 부분이 혼자 공부하는 나로서는 너무나 인상깊었던 도서였다.

 

혼공 시리즈에 대한 내 과거 경험은 이쯤하고, 이제는 해당 도서에 대해 리뷰를 남기고자 한다.

 

우선, 첫 번째 순서인 목차부터 확인해보자.

 

[ 목차 ]

Chapter 01 컴퓨터 네트워크 시작하기
01-1 컴퓨터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
01-2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살펴보기
01-3 네트워크 미시적으로 살펴보기

Chapter 02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02-1 이더넷
02-2 NIC와 케이블
02-4 스위치

Chapter 03 네트워크 계층
03-1 LAN을 넘어서는 네트워크 계층
03-2 IP 주소
03-3 라우팅

Chapter 04 전송 계층
04-1 전송 계층 개요: IP의 한계와 포트
04-2 TCP와 UDP
04-3 TCP의 오류·흐름·혼잡 제어

Chapter 05 응용 계층
05-1 DNS와 자원
05-2 HTTP
05-3 HTTP 헤더와 HTTP 기반 기술

Chapter 06 실습으로 복습하는 네트워크
06-1 와이어샤크 설치 및 사용법
06-2 와이어샤크를 통한 프로토콜 분석

Chapter 07 네트워크 심화
07-1 안정성을 위한 기술
07-2 안전성을 위한 기술
07-3 무선 네트워크

목차는 위와 같다. 목차를 보면 알겠지만 네트워크라는 주제 자체가 굉장히 광범위한 것을 알 수 있다. 

 

나는 데이터 쪽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Chapter 3과 4에  힘을 주며 독서를 진행했다. 이유는 데이터 통신도 해당 부분에 굉장히 연관된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먼저 말할 수 있는 것은 굉장히 친절하다는 것이다. 역시나 혼자 보기 너무 좋다는 것이다.

 

IP 주소 체계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부분에서 최근 나는 AWS 강의를 수강중에 있는데, 클라우드 서버 쪽에서 IP는 굉장히 중요한 개념이다. 

 

해당 부분에서 필요한 부분들만 발췌해서 찾아보고 진행했는데 이번 도서에서 해당 부분을 보며 너무 쉽게 이해가 갔다.

 

특히, IP 체계 중 공인/사설, 동적/정적 등 각각 직접 커맨드에서 확인해보는 예시 까지 들어주면서 설명해주었기에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라우터 부분도 OSI Layer 에서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며 해당 계층에서 어떤 부분의 역할을 하는지 실질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버 아키텍처를 가지고 설명해줘서 해당 부분도 쉽게 이해됐다.

 

전체적으로 역시 혼공 시리즈구나~ 하면서 보게 되었다. 다시 보니 예시가 친절해서 쉽게 이해했던 과거의 내 모습이 떠올랐다.

 

해당 도서는 네트워크를 처음 접하는 모든 분들에게 추천할 만한 도서인 것 같고 IT에 종사하는 분들이라면 네트워크는 꼭 한번 공부하기를 추천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