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AGs
- 파이썬
- 딥러닝
- 방콕여행
- 데이터 분석
- 직장인자기계발
- 패스트캠퍼스
- correlation
- 태국여행
- Ai
- 머신러닝
- 분석
- EDA
- 데이터
- Python
- 자동매매프로그램
- 직장인인강
- 에어플로
- 활성화함수
- 패스트캠퍼스후기
- 리뷰
- API
- airflow
- 독서리뷰
- 패캠챌린지
- 빅데이터
- 챗지피티
- 상관분석
- 데이터분석
- 파이썬을활용한시계열데이터분석A-Z올인원패키지
- Today
- Total
목록개인프로젝트 (4)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에는 1. DB구축으로 하나의 게시물로만 진행하고자 했지만, 계획이 조금 수정되어 이렇게 재구축이라는 제목으로 다시 작성하게 되었다. (이 부분부터는 개인적인 서론이기에...스킵해도 무방하다..;;) 이유는 기존에는 데스크탑인 로컬 PC에서 자동매매를 돌리고자했으나(테스트 후 서버에 올리고자했다) 데스크탑 PC로 작업하는 것들이 많아 노트북을 새로 장만하게 되었다. 그리하여...새로운 노트북에 환경셋팅부터 와이파이를 쓰는 곳에 IP를 추가해줘야 접근이 가능하기에 이러한 모든 부분들 때문에 재구축을 하게되었다. 해당 게시글에서 내가 구축한 부분은 크게 2가지로 1. Maria DB 재구축 2. 외부 IP 접근 허용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 부터 본격적으로 소개글을 시작해보려 한다. 1. Maria ..

현생으로 매일 야근에 시달려 선거날 사전 투표를 완료하여 오랜만에 여유가 되어 글을 작성해본다. 우선 이번 글에서는 API 연동과 키 발급에 대한 안내를 하고자 한다. 사실 아직 api 키는 발급받았지만 매매까지 진행해본 적이 없다...(알고리즘이 빈약하여...)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자 글을 작성해 본다(나의 발자취를 남기는 공동 목적을 가지며). 1. API 키 발급 다들 처음에 업비트 화면에서 어디로 가서 API 키를 발급받아 사용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다. (나도 처음엔 어디있는지 헤메어서 겨우 구글링을 통해 찾아보았다.) 아래 하단의 그림과 같이 첫 페이지에서 상단을 보면 고객 센터가 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한다. 고객센터 → OPEN API 안내 → OPEN API 사용하기 위 순서대로..

가장 먼저 고민한 것은 클라우드로 DB를 구성할 지 아니면 로컬에 구축할 지 결정하는 것이었다. 처음부터 클라우드로 구축하고자하니 공수도 크고 부담스러운 면이 있어서 우선은 로컬에 구축후 클라우드로 옮겨갈 생각이다. (사실 그만큼 대용량 데이터를 구축할 예정이 없기에 로컬에 구성해도 될 것 같지만 스크립트가 자동으로 돌아갈 수 있는 환경으로 구축해주려면 DB 또한 같이 움직여야 하니 이 부분은 매매프로그램이 완전히 구축되면 그 때 다시 계획을 세울 예정이다.) 해당 글에서 소개해드릴 것들은 크게 3가지이다. 1. Editor 현재 회사에서 Dbeaver라는 에디터를 사용하고 있어서 해당 에디터를 사용하여 DB관련 작업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2. MariaDB 실무에서는 Mysql과 Hive만 다루다 ..
예전부터 자동 매매 프로그램을 개인적으로 구축하여 영구적인 소득을 얻을 수 있는 목표를 세웠었다. 해당 목표에 가장 진입장벽이 낮으며 데이터 분석 관련 분야에 제일 근접한 부분이 아닌가 싶어 해당 프로그램을 구축하고자 한다. 코인 자동 매매프로그램 구축 단계는 크게 6단계로 나뉜다. 1. DB구축 → 우선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때 필요하기도 하고 내 매매 알고리즘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재할 데이터 베이스가 필요하여 목적에 맞는 테이블들을 설계할 예정이다. 2. API 연동 및 키 발급 → 나는 Upbit API를 연동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은 pyupbit을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 pyupbit패키지는 따로 인증키를 입력하는 절차없이 호출 변수들만 알면 모듈을 통해 호출이 가능하다. ..